썬더메일 사용안내/대량발송 가이드라인

대량메일 발송 시 '보내는 메일주소'의 중요성 안내입니다.

TM관리자 2023. 7. 7. 11:43

안녕하세요. 썬더메일입니다.

웹메일에서 소량의 메일을 발송하는 것과 시스템이나 솔루션으로 대량으로 메일을 발송하는 구조는 상이한데요.

웹메일과 대량메일 공통으로 반드시 설정해야 하는 부분도 있지만, 상이한 부분도 많습니다.

대량메일에서 메일을 발송할 때 '보내는 메일주소'와 '반송메일 주소'가 상당히 중요합니다.

반송메일 주소는 수신서버 입장에서 통상 보내는 메일주소로 인식을 합니다. 그래서 발송 솔루션에서는 초기 설정 후 임의 변경을 못하게 관리자 메뉴로 분류 됩니다.

반면, '보내는 이메일주소'는 발송 때 마다 발신자가 임의 수정이 가능한데요. 

여기서 주의할 점은 대량의 수신자가 있는 도메인으로 보내는 메일주소를 사용하면 안된 다는 것입니다.

 

사례 1
보내는 이메일주소: marketing@naver.com
반송메일주소: return@test.com
수신자 목록에 naver.com 메일 주소가 약 5천통 포함되어 있을 경우

위와 같은 상황에서는 네이버 수신서버에서 일정 부분 메일 수신을 하다, 발신 IP 자체를 차단 할 수 있습니다.
네이버 입장에서는 자신들의 아이피가 아닌 곳에서 네이버를 위장해서 발송을 하고 있다고 판단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
위와 같은 사례는 네이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도메인에 해당합니다.

사례2
보내는 이메일주소: marketing@domain1.com
반송메일주소: return@test.com
수신자목록에 gmail.com 메일 주소가 약 5천통 포함되어 있을 경우 

보내는 메일주소와 수신자 메일주소 도메인이 상이하지만 지메일의 경우 보내는 메일주소의 SPF 설정도 검증하기 때문에 domain1.com 의 SPF설정에 발송서버의 아이피가 없다면, 일부 수신 되다 메일이 실패하게 됩니다.

사례 3
보내는 이메일주소: noreply@test.com
반송메일주소: return@test.com
수신자 목록에 ge.com 메일 주소가 약 5천통 포함되어 있을 경우

보내는 메일주소가 실제 존재하지 않는 메일 주소일 경우 일부 해외 기업에서 메일 수신을 차단 할 수 있습니다.

다양한 사례가 있기 때문에 본발송 후 통계 정보를 확인하여 그에 맞게 대응하면 되겠습니다. 

 

작성자: 썬더메일사업부 최차장